반응형

쑥갓

쑥갓은 쑥 냄새와 비슷한 향기를 갖고 있으며 겨울에서 봄에 채취하여 먹는 계절의 특미입니다.

특히 독특한 향기를 내는 쑥갓의 방향 정유 성분은 위를 따뜻하게 하고 장을 튼튼하게 하며 식물성 섬유가 장을 적당히 자극하여 변통을 좋게 합니다.

쑥갓은 여린 것을 날것으로 먹거나 초고추장에 찍어 먹는 쑥갓강화로 먹어도 좋고 쪄서 나물로 먹기도 합니다.

쑥갓나물을 쑥갓을 살짝 데쳐 물기를 뺀 후 다진 파, 마늘, 고춧가루, 된장 등의 양념으로 무쳐 먹습니다.

이렇게 해먹으면 복부가 냉하면서 설사를 하는 경우나 술을 먹었다 하면 다음날 하루종일 뒤가 무지근하면서 시원스럽지 않은 설사를 반복할 때에도 좋습니다.

단, 정장작용이 필요 할때는 쑥갓나물에 참기름을 가미하지만, 설사가 있는 동안에는 참기름을 뺍니다.

 

쑥잎

쑥은 각종 비타민과 효소, 치네올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어서 지혈, 살균작용을 하고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억제합니다.

특히 치네올 성분은 중추신경을 흥분시키는 작용을 해 활동이 약한 조직 장기의 기능을 정상화시키며 공해물질과 노폐물이 쌓이지 않도록 내보내고 혈액을 정화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쑥은 냉이와 같은 성분과 약효를 가지고 있고 정장작용이 크며 변비와 설사에도 잘 듣습니다.

그래서 말린 쑥잎 10~15g 정도를 끓여 마시면 좋은데 이때 생강 한 덩이를 함께 넣어 진하게 달여 마시면 설사에 특효약이 됩니다.

혹은 쑥과 질경이를 각각 10~15g씩 3홉의 물로 달여 2홉으로 졸여지면 여기에 생강을 다져서 넣고 다시 끓여서 나누어 복용해도 좋습니다.

 

근대

가우본초라는 의서에는 '근대는 속을 보하고 기를 내리고 비위장 소화기 기능을 다스리고 오장의 기능을 이롭게 한다.'고 씌여 있습니다.

근대국은 특히 명치 끝이 답답하고 아프거나 가슴이 콱 막힌 듯하면서 걸핏하면 흩어지는 변이나 가는 대변을 보고, 배변 때 가스가 많이 나거나 설사가 잦을 때, 또는 이질로 고생하거나 대변 출혈이 있을 때도 좋습니다.

그리고 근대는 비타민과 무기질의 함량도 높고 질이 우수한 아미노산과 당질 등의 영양분이 풍부하여 정장작용 외에도 밤눈이 어둡다든지 피부가 거친 사람, 성장 발육이 늦은 아이들에게도 좋은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나물이나 국으로 끓여 먹으며, 국에 쌀을 넣어서 죽을 쒀 먹기도 합니다.

 

배추

배추에는 특히 식물성 섬유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변을 부드럽게 하고 장을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도와 주기 때문에 정장작용과 배변에도 좋습니다.

배추를 좀 더 효과적으로 섭취하려면 위장의 점막을 보호해 주는 우유에 배추를 조려 만든 배추크림조림으로 만들어 먹습니다.

이렇게 하면 정장작용뿐만 아니라 배추의 맛도 한층 더 살려주므로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는 음식이 됩니다.

 

죽순

죽손에는 단백질 외에 비타민 A, B1, B2, 무기질이 조금씩 들어 있어 영양면에서는 그다지 가치가 없지만 식물성 섬유가 매우 풍부하여 유산균과 같은 유익한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도와 장을 튼튼하게 해주므로 정장작용에 뚜렷한 효과가 있습니다.

죽순을 조리할 때는 썰겨나 쌀뜨물에 담가 좋지 않은 성분인 수산이 잘 녹아 나오게 합니다.

이렇게 하면 죽순에 들어 있는 여러 성분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쌀겨 안에 있는 효소의 작용으로 죽순이 부드럽게 되어 훨씬 맛이 좋아집니다.

단, 조리할 때 주의할 점은 죽순은 생장 중에 있는 여린 식물이기 때문에 시간이 흐를수록 많은 양의 아미노산과 당질을 소모하고 맛도 떨어지므로 수확 후에 되도록 빨리 조리하든가 가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죽순 요리로서는, 삶은 죽순을 가늘게 썰어 넣은 죽순밥이 별미이고, 죽순을 푹 삶아 얄팍하게 썰어서 만든 죽순정과도 권할만한 음식입니다.

 

밤에는 위장 기능을 강화하는 동시에 소화가 잘되는 당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 B1은 쌀보다 4배나 많고 비타민C도 매우 많습니다.

그래서 배탈, 설사, 식욕부진 등에 밤을 약용합니다.

우선 밤을 꿀물에 졸여 먹는 방법이 있는데 이렇게 해먹으면 정장작용이 뛰어납니다.

혹은 밤편을 만들어 먹어도  좋은데. 밤즙에 녹말과 꿀을 섞은 후 조려서 떡 모양으로 만든 것이 밤편입니다.

또는 날밤을 물에 담갔다가 갈아서 그 즙에 물을 조금 넣고 저으면서 익히면 도토리묵 같은 묵이 되는데 이것을 간식으로 먹어도 좋습니다.

이밖에 밤암죽도 설사나 배탈이 좋습니다.

밤암죽은 심한 설사 뒤의 회복기에 좋고 이유식으로도 적합하며 성장기 어린이나 허약자에도 유익한 영양식입니다.

밤이 노란색을 띠는 것은 카로티노이드라는 색소 때문인데 이것이 체내에 흡수되면 비타민A로 바구어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 비타민A는 각 기관의 상피 세포를 튼튼하게 해주므로 박테리아의 침입을 막고 소화기관에 활력을 줍니다.

또한 밤의 겉껍질이나 속껍질도 끓여 마시면 설사에 도움이 되므로 밤은 버릴 것이 거의 없는 좋은 식품입니다.

 

부추

정구지, 구채 등으로 불리는 부추는 양기를 일으키는 최음 효과가 뚜렷하다고 하여 '기양초'라고도 합니다.

이말은 부추가 그만큼 양기 회복에 좋다는 뜻이며, 설사나 병을 앓은 후 체력이 떨어지고 기운이 없을 때 몸을 활성화시켜 주는데 뚜렷한 효과가 있다는 말입니다.

이외에도 부추에는 비타민A, B1, B2,C와 카로틴이 들어 있고 철분도 다른 채소에 비해 많은 편이라 혈액을 정상화하며 세포의 활력을 주기 때문에 탈이 난 소화기관에 도움이 됩니다.

또 옛부터 부추를 먹으면 몸이 따뜻해지고 감기에 잘안 걸리며 설사와 복통에도 특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설사 때 부추죽을 먹으면 좋습니다.

부추를 끓이다가 찹쌀과 파를 조금 썰어 넣고 끓여 먹으면 설사뿐만 아니라 통증 예방제도 되며 몽정, 조루증에도 좋습니다.

이밖에 부추를 식물성 기름으로 볶아 아주 뜨거울때 마늘, 간장을 조금 넣고 먹는 방법도 있고, 다시마 우려낸 국물에 된장으로 맛을 내고 현매를 넣어 끓이다가 부추를 넣어 먹기도 합니다.

 

 

 

2020/09/16 - [건강이야기] - 위염, 위궤양에 좋은 채소 양배추 석류 유자 연근 효과 효능

 

위염, 위궤양에 좋은 채소 양배추 석류 유자 연근 효과 효능

양배추 양배추에는 위나 십이지장의 헐을 점막을 재생시켜 주고 궤양 치료에 효과가 있는 비타민K와 U가 많이 들어 있습니다. 삶거나 익히면 비타민U가 파괴되므로 생으로 먹는 것이 더 큰 효과�

fit1233.tistory.com

 

반응형

+ Recent posts